본문 바로가기

자기부담사업비 계산 잘못하면, 정부 창업지원금 못 받는다고?

루이스 정보톡 2024. 1. 28.

처음 창업 정부지원사업을 준비 하게 됐을때 모집공고문을 보고 순간 당황해 하는 부분이 있죠!

 

  • 창업기업은 자기부담사업비를 필수로 납부하여야 하며, 미이행시 협약체결 대상에서 제외
  • 창업기업은 자기부담사업비 중 현금 비중을 최소 10%에서 최대 30%까지 납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물 비중이 달라 질수 있음

 

아니! 정부지원금이라며... 왠 갑자기 현금을 내라고 하는거야?
당장 천만원을 어디서 준비해야되지?

 

한-남자가-고민에-빠져있는-이미지

 

자기부담사업비... 몇 년전까지만해도 대응자금이라고 불렸던 그 조항은

지금도 많은 창업기업을 불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제가 만났던 2개의 창업기업 사례를 적어놨는데요!

혹시 여러분들의 이야기는 없으신가요?

 

자기부담사업비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업 선정이 되어버린 A기업.
사업 선정후 자기부담사업비로 천만원을 납부하라고 통보를 받게 됩니다.
당장 직원들 인건비도 주기 빠듯한 상황에 천만원을 납부하라고 하니 대표는 펄떡펄떡 뜁니다.
천만원을 준비 못하게 되면 힘들게 따낸 정부지원금 7천만원을 못받게 될 상황인거죠.

 

그리고 이런 경우도 있었는데요.
처음 사업을 신청한 B기업 대표.
자기부담사업비를 마치 세금과 같은 개념으로 공고문을 잘못 이해하고
관련 기관에 민원 전화를 넣어 다짜고짜 화부터 내고 한바탕 소동을 벌입니다.

 

마치 이 2개의 스토리가 마치 제가 막 지어낸 이야기 같죠?

그렇게 생각하실만도 한데요. 전혀 아닙니다.

자기부담사업비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아직도 은근히  많습니다. 

 

이제 그런 걱정 그만! 

오늘은 제가 자기부담사업비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릴께요!

 

1. 자기부담사업비 도대체 그게 뭔데?

자기부담사업비에-대한-이해-이미지

 

자기부담사업비는 쉽게 말해서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돈만 받는게 아니라

내 돈의 일부를 사업비로 합산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바꿔서 생각해보면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최소한 필요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자기부담사업비를 통해 확인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만약 자기부담사업비가 없다고하면 어떻게 될까요?

소위 정부지원금 낚시꾼이라 불리는 지원금만 노리는 사람들로 바글바글 하겠죠. 

사업을 운영하는 대표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비용 감수가 있어야

그 사업에 대한 책임감 역시 높아질꺼라는 생각이 듭니다.

 

2. 자기부담사업비 계산 어렵지 않아요

총사업비 100%
정부지원사업비 총 사업비의 70% 이하
자기부담사업비 현금 총 사업비의 10% 이상
현물 총 사업비의 20% 이하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통합관리지침(제11차 개정)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통합관리지침(제11차 개정)

www.k-startup.go.kr

 

자기부담사업비는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통합관리지침 제7장 제24조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자기부담사업비를 계산하기 전에 먼저 총사업비, 정부지원금, 자기부담사업비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합니다.

 

총사업비 = 정부지원사업비 + 자기부담사업비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자기부담사업비는 다시 현금과 현물로 나뉩니다.

 

정부지원사업비 정부에서 순수하게 지원되는 비용
자기부담사업비 창업자가 납부해야 하는 비용
현금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현금으로 납부하는 금액
현물 금전 이외의 물품

 

보통 정부지원사업비는 총 사업비의 70%이하이며,

현금은 총 사업비의10% 이상,

현물은 총 사업비의 20% 이하입니다.

 

이 비율은 사업별로 특성상 조금씩 변동이 있을 수 있기는 한데요.

대부분 이런 비율로 진행됩니다.

 

제가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예시를 정리 해보았는데요.

구분 기준값 예시1 예시2
총사업비 100% 100,000천원 142,860천원
정부지원사업비 총 사업비의 70% 이하 70,000천원 100,000천원
자기부담사업비 현금 총 사업비의 10% 이상 10,000천원 14,290천원
현물 총 사업비의 20% 이하 20,000천원 28,570천원

 

자기부담사업비에서 현금은 세금처럼 국가에 반납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비 계좌에 입금을 해놓고 그 비용을 사업자금으로 사용하게 되는거죠. 

 

다만 지원사업 선정 조건으로 10%이상을 선납을 필수로 해야만 선정되기 때문에

정부지원금을 많을 많이 주는 사업의 경우에는 자기부담사업비도 커지기 때문에 조금 부담이 될수 있겠죠.

 

현물의 개념은 다소 어렵다고 느낄수 있는데요. 전혀 어려운 개념이 아닙니다.

금전적인 요소 말고 이 사업에 대응 해서 내놓을 수 있는 거면 뭐든 상관 없습니다.

예를 들면 대표의 인건비, 회사 내 자산, 공간 사용료, 기자재 등이 포함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물들은 추후에 증빙서류로 제출해야 되니 처음 사업계획서 작성하실때
증빙이 가능한 내용으로 적으셔야 됩니다.

 

3. 자동계산기 무료로 제공합니다.

정부지원금 자기부담사업비(대응자금) 자동계산기(게시).xlsx
0.08MB

 

물론 간이계산기를 사용해도 쉽게 자기부담사업비를 계산할수 있긴 한데요.

보다 편리하게 계산을 돕기 위해서 제가 엑셀로 만든 공유해 드립니다.

 

자동계산기는 사용법을 간단히 말씀드릴께요.

엑셀파일을 열으시면 아래와 같이 뜨게 됩니다.

자기부담사업비-계산기-사용예시

 

노랑색으로 칠해져 있는 부분에 공고문에 명시된 정부지원사업비를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자기부담사업비가 계산이 됩니다.

저는 초기창업패키지를 예시로 정부지원사업비 7천만원을 입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부담사업비-계산기-사용예시

 

정부지원사업비에 7천만원을 입력하면 현금 1천만원, 현물 2천만원이 입력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에 현물을 마련할 여건이 안되어서

어쩔수 없이 현금의 비중을 높여야 할때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다른부분은 건드릴 필요가 전혀 없으시고요.

현금 부분의 비율만 내가 원하는 비율만큼 조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12%로 맞춰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부담사업비-계산기-사용예시

 

이렇게 하면 현금은 1.2천만원, 현물은 1.8천만원으로 자동 계산됩니다.

사용하기 전혀 어렵지 않으시죠?

 

제가 직접 제작한 엑셀시트라 보호차 암호를 걸어놨습니다.

다운받으신후 비밀댓글로 암호를 문의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파일 열으신 다음에 읽기전용으로 열으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창업 정부지원금의 자기부담사업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혹시라도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댓글